재테크를 하려면 금융 용어를 알아야 한다.
하지만 어려운 용어가 너무 많아서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.
그래서 오늘은 재테크 초보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 10가지를 쉽게 설명해 볼게!
1. 예금 vs 적금
✅ 예금: 목돈을 한 번에 은행에 맡기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상품. (정기예금)
✅ 적금: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고, 만기가 되면 원금+이자를 받는 상품. (정기적금)
💡 예금은 목돈이 있을 때, 적금은 꾸준히 돈을 모을 때 유리함.
2. 복리 vs 단리
✅ 단리: 원금에만 이자가 붙음.
✅ 복리: 원금+이자에 다시 이자가 붙음.
💡 장기적으로 돈을 불릴 때는 복리가 유리함.
(예: 1억 원을 연 5% 단리로 10년 투자하면 1.5억 원, 복리로 투자하면 1.63억 원)
3. 신용점수 (구 신용등급)
✅ 금융 거래(대출, 카드 사용 등)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점수.
✅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대출 금리 우대 등 혜택이 많음.
💡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:
👉신용카드 연체 없이 사용하기
👉카드값을 정해진 날보다 미리 납부하기
👉여러 개의 대출보다 하나로 통합하기
4. 금리 (이자율)
✅ 예금 금리: 은행에 돈을 맡겼을 때 받는 이자율
✅ 대출 금리: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내는 이자율
💡 금리가 높으면? 대출 이자는 커지고, 예·적금 이자는 많아짐.
💡 금리가 낮으면? 대출 부담은 줄지만, 예·적금 이자는 적어짐.
5. ETF (상장지수펀드)
✅ 특정 지수(예: 코스피 200)를 추종하는 펀드+주식의 성격을 가진 상품
✅ 일반 주식처럼 매매할 수 있어서 초보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 가능
💡 "나는 개별 종목 고르는 게 어려워!" → ETF 투자 추천
6. PER (주가수익비율)
✅ 주가가 기업의 수익(이익) 대비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
✅ 공식: 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💡 PER이 낮으면?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저렴할 가능성이 있음.
💡 PER이 높으면? 시장에서 성장성을 보고 높은 가격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음.
7. PBR (주가순자산비율)
✅ 기업의 자산(순자산) 대비 주가가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
✅ 공식: 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
💡 PBR이 1보다 낮으면?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보다 저평가될 가능성이 있음.
💡 PBR이 1보다 높으면?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보다 고평가 될 가능성이 있음.
8. ROE (자기자본이익률)
✅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 나타내는 지표
✅ 공식: ROE = 순이익 ÷ 자기자본 × 100
💡 ROE가 높을수록 투자 가치가 높을 가능성이 큼.
💡 PER, PBR과 함께 보면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 적정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 됨.
9. 달러 Cost Averaging (DCA, 적립식 투자)
✅ 정해진 금액을 일정한 주기로 투자하는 방식
✅ 시장 타이밍을 예측하지 않고, 장기적으로 꾸준히 투자하는 전략
💡 예: 매달 30만 원씩 S&P500 ETF를 매수하는 방법
💡 장기적으로 보면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.
10. 연말정산 (세금 환급)
✅ 근로소득자가 낸 세금을 정산하여 더 낸 세금을 돌려받거나, 덜 낸 세금을 추가 납부하는 제도
✅ 소득공제 & 세액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음.
💡 연말정산 환급을 늘리는 꿀팁:
👉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, 현금영수증 사용 비중 높이기
👉IRP(개인형 퇴직연금), 연금저축펀드 등 세액공제 상품 활용하기
👉기부금, 의료비, 교육비 공제 항목 꼼꼼히 챙기기
💡 마무리: 금융 지식이 곧 돈이다!
위 용어들은 재테크를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이야.
이제 용어를 조금씩 익히면서 실제 투자나 저축 계획을 세워보자!
'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 주식 투자,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(7) | 2025.04.01 |
---|---|
예·적금 vs 투자, 나에게 맞는 재테크 방법은? (6) | 2025.03.31 |
2025년 진해 군항제, 벚꽃 아래서 봄을 만끽하세요! (8) | 2025.03.30 |
직장에서 살아남는 현실적인 조언 (2) | 2025.03.29 |
불면증 극복하는 현실적인 방법 (3) | 2025.03.29 |